문제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269
자연수를 원소로 갖는 공집합이 아닌 두 집합 A와 B가 있다. 이때, 두 집합의 대칭 차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두 집합 A와 B가 있을 때, (A-B)와 (B-A)의 합집합을 A와 B의 대칭 차집합이라고 한다.
예를 들어, A = { 1, 2, 4 } 이고, B = { 2, 3, 4, 5, 6 } 라고 할 때, A-B = { 1 } 이고, B-A = { 3, 5, 6 } 이므로, 대칭 차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1 + 3 = 4개이다.
입력
첫째 줄에 집합 A의 원소의 개수와 집합 B의 원소의 개수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집합 A의 모든 원소가, 셋째 줄에는 집합 B의 모든 원소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각각 주어진다. 각 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200,000을 넘지 않으며, 모든 원소의 값은 100,000,000을 넘지 않는다.
출력
첫째 줄에 대칭 차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출력한다.
코드
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same = []
A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B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for i in range(a):
if A[i] in B:
same.append(A[i])
print(a+b-2*len(same))
처음에 코드를 이렇게 짰다.
각 차집합을 리스트로 받고, A의 원소들을 하나하나씩 B에 있는지 비교했다.
두 집합에 동일하게 들어있는 원소를 same 집합에 넣었다.
대칭차집합의 원소 수인, 각 집합의 수를 더하고 교집합의 수*2를 뺀 값을 출력한다.
코드를 돌렸을 때 답은 올바르게 나왔는데, 백준에 제출해보니 시간 초과가 나왔다.
아무래도 조건문 및 반복문을 3중으로 짜서 시간복잡도가 높아져서인 것 같다.
수정한 코드
파이썬에서 집합으로 입력을 받아서 코드를 쓸 수도 있고, 대칭차집합에 대한 기본연산도 제공하고 있어서
더욱 간결하게 코드를 짤 수 있었다.
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A = set(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)
B = set(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)
same = A & B
print(a+b-2*len(same))
'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 1620번 나는야 포켓몬 마스터 이다솜 / python (0) | 2024.04.01 |
---|---|
[백준] 1057 토너먼트 / python (0) | 2024.04.01 |
[백준] 1051번 요세푸스 문제 / python (0) | 2024.03.31 |
[백준] 1463번 1로 만들기 / python (0) | 2024.03.29 |
[백준] 1051번: 숫자 정사각형 / python (0) | 2024.03.29 |